728x90
반응형
2장과 3장은 딱히 어려운 내용이 없습니다. (pp.50-115) 다소 헷갈리는 부분이 있을 수 있지만, 어려운 것과 헷갈리는 건 다른 거니까요. 본 교재의 마무리 부분을 보시면 명료하게 잘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1. 데이터 입력하고 결과 출력하기
2장에서는 print와 input함수를 활용합니다. 저는 저작권을 존중하고자 약간 각색하여 작성했습니다. 주피터 노트북으로 진행했구요. Self Check의 마지막 문항에서 print와 input 함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발상이 눈에 띕니다.
# 2장 데이터 입력하고 결과 출력하기
## 출력 명령어 - print
print(2022)
print("동계올림픽")
print("2022")
#### 큰(작은) 따옴표가 들어가면 문자로 취급
print(2000 + 22)
print("2000 + 22")
### 특이한 연산자
# 1. //, 몫을 취함
print(2000 // 22)
# 2. %, 나머지를 취함
print(2000 % 22)
# 3. **, 제곱
print(20 ** 2)
### 연결하여 출력
# +로 연결하면 붙어서, 쉼표로 연결하면 띄어쓰기 처리
print('파이썬' + '공부')
print('파이썬', '공부')
# 혼용도 가능
print('파이썬', '공부', '꿀잼')
print('파이썬', '공부' + '꿀잼')
## 입력 명령어 - input
# 값 입력 (입력할 수 있는 공란 생성됨.)
input()
### 혼합사용
input("너의 이름은? : ")
input("너의 성별은? : ")
print("삐빅 인증되었습니다.")
## Self Check
# 1. print 명령어와 문자, 연산자를 조합해 문장 만들기
print("+" * 3 + "인수위원장 안철수" + "+" * 3)
# 2. 이름을 입력받고 예약 명단 확인 (print, input 사용)
print(input("안녕하세요 고객님.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 '님 어서오십시오.')
2. 변수로 데이터 저장하기
일일이 데이터를 넣어 코딩하는 것이 귀찮고 비효율적이기에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 등장했습니다. 최대한 짧고 간단히 작성하여 보기도 깔끔하고 작성하기도 쉬운 방향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여담이지만, 그냥 무식하게 비효율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것을 '하드 코딩'이라고 한다고 하더라구요.
## 변수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name = "이재명"
age = 57
vote = "47.83%"
print(name, "(나이 :", age, "세)" , "후보는", vote, "의 득표율로 낙선하였습니다.")
### format 활용
name = "이재명"
age = 57
vote = "47.83%"
print(name, "(나이 :", age, ")" , "은(는)", vote, "의 득표율로 낙선하였습니다.")
# format 함수를 사용해 보다 깔끔하게 작성 가능
print("{} (나이 : {}세) 후보는 {}의 득표율로 낙선하였습니다" .format(name, age, vote))
### 변수를 사용한 계산
# 반지름이 8인 원이 있다고 가정
r = 8
p = 3.14
# 1. 원의 넓이 -> r^2 * pie
a = r ** 2 * p
# 2. 구의 겉넓이 -> r^2 * 4pie
b = r ** 2 * 4 * p
print("원의 넓이는", a)
print("구의 겉넓이는", b)
### 변수를 입력받는다면?
# 반지름이 달라지는 경우!
p = 3.14
# int함수는 정수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r = int(input('반지름은 얼마인가요?'))
c = r ** 2 * p
d = r ** 2 * 4 * p
print("원의 넓이는", c)
print("구의 겉넓이는", d)
### 할당 연산자
# 같은 변수에 반복해서 값을 주어 계산
# 매년 나이가 한 살씩 많아진다
age = 5
age += 1 # age = age + 1
print(age)
#### 덧셈 이외의 다른 연산도 동일하게 적용됨.
## Self Check
# 1. 나이가 출력되도록 코드 작성하기
age = input("너는 몇 살이냐?")
print("난 {}살이다. 까불지마라".format(age))
# 2. 국어 0.2, 수학 0.5, 영어 0.3의 보정치를 부여하는 학과에 들어가는 코드
k = int(input("국어 점수 : "))
m = int(input("수학 점수 : "))
e = int(input("영어 점수 : "))
print("보정 점수는", k*0.2+m*0.5+e*0.3, "입니다.")
이상입니다. 혹시 질문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그리고 코딩의 결과가 궁금하시다면 Github 링크를 남겨둘테니 그 쪽에서 해당 파일을 찾아 실행해보세요. (링크)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ython >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6. 데이터 분석 기초 (0) | 2022.07.25 |
---|---|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5. 그래프 그리기 (0) | 2022.07.25 |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4. 리스트와 딕셔너리 (0) | 2022.06.16 |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3. 조건문 ~ 반복문 (0) | 2022.06.15 |
[Let's Get IT 파이썬 프로그래밍] 1. 컴퓨터 사양 및 기 (0) | 2022.03.14 |